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웹 프로그래밍/Servlet & JSP20

웹 문서(정적 컨텐츠, 동적 컨텐츠), 웹 애플리케이션, 웹 서비스 웹이란? (1) 웹 문서 웹 문서란, 웹에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정보를 요청하면 응답하는 콘텐츠라고 할 수 있으며, 정적인 웹 문서와 동적인 웹 문서로 구분할 수 있다. 정적 컨텐츠: 웹 서버가 이미 만들어져 있는 문서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 (HTML) 동적 컨텐츠: 웹 서버가 요청 시마다 다른 웹 문서의 내용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 다음 두 가지 방법 중 하나에 의해 처리됨.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웹 문서를 요청하면 웹 문서에 동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방식(스크립트 방식)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웹 문서를 요청하면 서버가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웹 문서를 재생성하여 제공하는 방식 동적인 웹 문서 작성 기술로는 CGI, ASP, PHP, 서블릿과 JSP 등이 있다. 앞으로 학습하게 될 JSP가 첫 번째 방식.. 2021. 3. 10.
웹에서의 자바 기술 및 Servlet과 JSP의 차이점 웹에서의 자바 기술 우리가 학습할 서블릿과 JSP는 웹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기술이다. 초창기에는 서블릿과 JSP가 아닌 애플릿을 사용했다. 애플릿(Applet) 초창기 웹은 정적인 페이지만 표현 가능했음 -> 자바 진영에서 애플릿을 내놓음, 실시간으로 보여줄 수 있는 동적인 데이터 처리 가능하게 됨. 그러나 단점이 존재했음. 그것은 바로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쪽으로 실행 파일을 내려받아서 실행되는 방식이었음. 이를 극복하기 위해 Servlet이 등장함. 서블릿(Servlet) Servlet은 클라이언트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요청하면 서버에서 실행한 후 결과값만 클라이언트로 전송 HTTP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웹의 특징과 속성들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API를 제공 -> 클라이언트의 요청과 서버의 응.. 2021. 3. 10.
HTTP 프로토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이해 우리가 JSP와 서블릿을 사용한 웹 프로그래밍을 작성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HTTP 프로토콜이므로 HTTP가 어떤 구조를 가지고 어떤 연관성을 지녔는지 알아보자. HTTP 프로토콜의 구조 HTTP 프로토콜은 요청(Request)와 응답(Response)의 형태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ex) 사용자가 웹 페이지의 링크를 클릭 브라우저가 HTTP 프로토콜의 요청(Request) 형태로 HTTP 메시지를 작성하여 웹 서버에 전송 웹 서버에서는 받은 HTTP 메시지가 요청(Request) 메시지임을 판단하고 그 데이터를 분석해 응답(Response) 형태로 메시지를 작성해 브라우저로 전송 브라우저는 메시지를 받아서 사용자의 화면에 표시.. 2021. 1. 23.
JSP와 Servlet의 개요 정적 컨텐츠 vs 동적 컨텐츠 정적 콘텐츠(static)는 변화가 없는 콘텐츠를 말합니다. 보통 HTML, CSS, JS와 같이 미리 서버에 저장해두고 서버가 요청을 받으면 그저 응답만 해주면 되는 것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곧 어느 사용자에게든지 동일하게 결과값을 보여주게 됩니다. 동적 콘텐츠(dynamic)는 누가, 언제, 어떻게 서버에 요청했는지에 따라 결과값을 다르게 보여주는 형식입니다. 즉, 사용자가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예를 들면 유투브의 추천 영상이라던지, 이 콘텐츠를 제일 잘 활용하는 웹 서비스는 넷플릭스입니다. 왜 JSP가 필요할까? 웹 기반의 언어로 가장 먼저 개발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는 텍스트 기반의 웹 문서 작성이.. 2021. 1.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