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57 질의 문자열, GET과 POST 방식의 차이 질의 문자열의 개요 이번 절에서는 질의 문자열이 무엇인지와 인코딩 규칙, 전달 방식의 규칙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질의 문자열이란? 웹 클라이언트에서 웹서버에 정보를 요청할 때 정해진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하는 문자열을 질의 문자열이라고 합니다. 대표적인 웹 클라이언트인 웹 브라우저에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입력 양식을 제시할 수 있는데, 이때 사용되는 HTML 태그가 바로 입니다. 태그는 웹 브라우저 화면에 버튼, 텍스트 필드, 체크 박스, 라디오 버튼과 같은 GUI 환경의 입출력 도구들을 출력하는 기능과 서버 프로그램의 URI를 설정하는 기능 등이 있습니다. 태그의 기능을 알고 있어야 게시판 입력이나 회원가입, 회원인증 화면 등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게 하.. 2021. 3. 11. Servlet 요청 정보 처리 (HttpServletRequest) 요청정보 처리 - HttpServletRequest 이번 절에서는 요청정보가 무엇인지, 그리고 요청정보 추출과 관련된 주요 API들의 종류와 기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브라우저에 적절한 URL 문자열을 이용하여 웹서버에 서블릿 수행을 요청할 때 일정한 형식의 다양한 정보를 서버로 전달하는데요. 이때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전달하는 요청정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클라이언트의 IP 주소, 포트 번호 클라이언트가 전송한 요청 헤더 정보(클라이언트에서 처리 가능한 문서 타입의 종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정보, 처리 가능한 문자셋 정보, 쿠키 정보) 요청 방식, 요청 프로토콜의 종류와 버전, 요청하는 파일의 URI, 요청받은 서버의 정보 서버의 호스트 이름, 포트 번호 사용자가 서블릿 요청 시 추가로 전달한 정보 .. 2021. 3. 11. Servlet 응답 정보 처리 (HttpServletResponse, 한글 응답) 응답정보 객체 생성 및 삭제 HttpServletRequest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보내는 요청정보를 처리하는 객체이고, HttpServletResponse는 서버가 클라이언트로 보내는 응답정보를 처리하는 객체입니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으로부터 시작되는 웹서버의 처리 순서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클라이언트가 웹 브라우저에서 서비스를 요청합니다. 이때 HTTP 프로토콜 기반으로 요청정보가 만들어져 웹서버에 전달됩니다. 2) 웹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전달받은 요청정보의 URI를 살펴보고, 서블릿이라면 서블릿 컨테이너에 처리를 넘깁니다. 3) 서블릿 컨테이너는 요청받은 서블릿 클래스 파일을 찾아서 실행합니다. 4) 실행할 때 첫 순서는 최초의 요청인지를 파악합니다. 최초의 요청이라면 메모리에 로딩 후.. 2021. 3. 11. 서블릿 구현 및 실행 (web.xml, @WebServlet 설정) 서블릿 구현 및 실행 서블릿 작성 FirstServlet.java package com.edu.test;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x.servlet.*; import javax.servlet.annotation.WebServle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 public class FirstServlet extends HttpServlet { public void init(ServletConfig config) throws ServletException { System.out.println("init() 실행됨!"); } public void service(ServletRequest arg0, ServletRespon.. 2021. 3. 11.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