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7

[SQLD 과목1 1장-1절] 데이터 모델의 이해 1. 모델링의 이해 가. 모델링의 정의 모델링이란? 모델링은 복잡한 '현실세계'를 단순화시켜 표현하는 것이다. 모델이란 현실 세계의 추상화된 반영이다. 나. 모델링의 특징 모델링의 특징을 요약하면 추상화, 단순화, 명확화의 3대 특징으로 요약할 수 있다. 추상화(모형화)는 현실세계를 일정한 형식에 맞추어 표현을 한다는 의미로 정리할 수 있다. 단순화는 복잡한 현실세계를 약속된 규약에 의해 제한된 표기법이나 언어로 표현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을 의미한다. 명확화는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대상에 대한 애매모호함을 제거하고 정확하게 현상을 기술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 모델링의 세 가지 관점 시스템의 대상이 되는 업무를 분석하여 정보시스템으로 구성하는 과정에서 업무의 내용과 정보시스템의.. 2021. 2. 25.
[SQLD] 앞으로 다룰 내용 SQL 개발자(SQLD) 가이드 목차 제 1장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제 1절 데이터 모델의 이해 제 2절 엔터티(Entity) 제 3절 속성(Attribute) 제 4절 관계(Relationship) 제 5절 식별자 제 2장 데이터 모델과 성능 제 1절 성능 데이터 모델링의 개요 제 2절 정규화와 성능 제 3절 반정규화와 성능 제 4절 대량 데이터에 따른 성능 제 5절 데이터베이스 구조와 성능 제 6절 분산 데이터베이스와 성능 제 1장 SQL 기본 제 1절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개요 제 2절 DDL(DATA DEFINITION LANGUAGE) 제 3절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제 4절 TCL(TRANSACTION CONTROL LANGUAGE) 제 5절 WHERE 절 제 .. 2021. 2. 25.
SQLD 접수 완료! 2021. 2. 23.
HTTP 프로토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이해 우리가 JSP와 서블릿을 사용한 웹 프로그래밍을 작성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HTTP 프로토콜이므로 HTTP가 어떤 구조를 가지고 어떤 연관성을 지녔는지 알아보자. HTTP 프로토콜의 구조 HTTP 프로토콜은 요청(Request)와 응답(Response)의 형태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ex) 사용자가 웹 페이지의 링크를 클릭 브라우저가 HTTP 프로토콜의 요청(Request) 형태로 HTTP 메시지를 작성하여 웹 서버에 전송 웹 서버에서는 받은 HTTP 메시지가 요청(Request) 메시지임을 판단하고 그 데이터를 분석해 응답(Response) 형태로 메시지를 작성해 브라우저로 전송 브라우저는 메시지를 받아서 사용자의 화면에 표시.. 2021. 1. 23.
반응형